세션 | 시간 및 장소 | 순서 | 제목 | 발표자 |
---|---|---|---|---|
자유연제 1 : 의료인공지능 | 9:00-10:30, A area | 1 |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ndidemia risk prediction model among malignancy patient | 유준상 (삼성서울병원) |
2 | 모션 딥러닝을 활용한 인공지능 헬스트레이닝 | 김달현 (건양대학교) |
||
3 | 임상시험에서 의학적 사건정보 이해를 위한 심층신경망 기반 시간적 관계정보 엔드-투-엔드 학습기법 연구 | 임채균 (KAIST) |
||
4 | 임상시험 챗봇의 자연어 이해를 위한 Joint KoBERT 활용 | 김탁희 (KAIST) |
||
5 | A Pre-Trained Discharge Summary BERT with Contrastive Loss for Clinical Natural Language | 원대연 (KAIST) |
||
6 | Chief Complaint Vectorization using Patient Inform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| 이정훈 (삼성융합의과학원) |
||
자유연제 2 : 모바일헬스&디지털헬스 | 9:00-10:30, B area | 1 | 밝기 특징 정보를 결합한 다층 U-net 기반의 영상분할모델 | 우동원 (경북대학교) |
2 |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검사 자동화를 위한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 개발 | 박태준 (아주대학교) |
||
3 | 안과인공지능의 판독 범용성에 관한 연구: 일반 안저카메라 데이터로 학습한 딥러닝 모델의 휴대용 안저카메라 데이터에 적용 연구 | 이근영 (주)메디웨일 |
||
4 | 1-Lead 심전도 및 광혈류측정 파형 데이터를 통한 딥 러닝 기반 고혈압 추정 연구 | 박찬민 (아주대학교) |
||
5 |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의 조기 발견을 위한 심전도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듬 | 한창호 (아주대학교) |
||
6 | 코로나 바이러스 세포 이미지 기반 바이러스 임상시험 시뮬레이션을 위한 스타일 변환 모델 | 이하림 (건양대학교) |
||
자유연제 3 : 의료빅데이터 | 9:00-10:30, C area | 1 | Design a mobile app for communicating drug side effect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and self-report | 이상민 (건양대학교) |
2 | Cancer Big-data Library Development 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base | 양희수 (건양대학교) |
||
3 | Development of web-based Drug-Induced QT Prolongation Surveillance System (DQTS) | 최병진 (아주대학교) |
||
4 | 응급실 방문 흉통환자 대상 단일 패치 12유도 심전도의 시간 적시성 평가 | 유서영 (삼성융합의과학원) |
||
5 | 공통데이터 모델을 활용한 약물부작용 평가를 위한 임상시나리오 템플릿의 개발 | 최선 (서울대학교) |
6 | 블록체인기반 헬스케어 데이터거래소 구축 및 운영실증 | 김강현 (차의과학대학교) |
순서 | 발표자성명 | 제목 |
---|---|---|
1 | 김연준 (유타대학교) |
The interoperable database resources of Korean clinical trial information |
2 | 최연국 (성균관대학교) |
고혈당의 온라인 관리와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정밀치료식이요법의 개발 |
3 | 엄희상 (연세대학교의료원) |
고혈압 환자 대상 병합요법에 따른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 연구 |
4 | 김도훈 (서울아산병원) |
Which functions explain continuous use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? |
5 | 이재빈 (공주대학교) |
머신러닝을 활용한 허혈성심장질환 환자 재원일수 결정요인 |
6 | 김종혁 (서울아산병원) |
해석 가능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알츠하이머 전환 예측 모델 개발 |
7 | 한정현 (한양대학교) |
보건의료데이터 비식별화 기술 현황조사 : 체계적 문헌고찰 |
8 | 안미선 (공주대학교) |
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의 연령별 사망 위험도 변화 |
9 | 장은찬 (차의과학대학교) |
공공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신장 기능 이상 예측 모델 개발 : 기계학습 알고리즘-XGBoost |
10 | 김도훈 (서울아산병원) |
A method to visualize and compare mapping status |
11 | 김수민 (삼성융합의과학원) |
응급상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개인건강활용 서비스 : 사용자 경험 중심 질적 연구 |
12 | 장선미 (서울대학교) |
Relationship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|
13 | 민지영 (성균관대학교) |
대한민국 응급실 성인 외상의 연령대별 역학 비교 분석 |
14 | 윤선영 (성균관대학교) |
Feasibility of Patch Type Wireless 12-Lead Electrocardiogram Device for Lay Person |
15 | 손종칠 (한국외국어대학교) |
의료 데이터 거래가격 추정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|
16 | 진수호 (아주대학교) |
심혈관 질환으로 베타차단제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의 주요우울장애 발생 예측 연구 |
17 | 이경현 (성균관대학교) |
A Survey and Analysis on a Healthcare AI-Project |
18 | 김지웅 (삼성융합의과학원) |
손상환자 뇌출혈 예측모델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mini-EDIIS to FHIR 개발 |
19 | 김난영 (건양대학교) |
Geriatrics on Beers Criteria Medications at Risk of Adverse Drug Events using Real World Data |
20 | 정혜실 (서울대학교) |
의약품 코드(KD)의 SNOMED CT 자동매핑을 위한 룰 개발 |
21 | 이성원 (아주대학교) |
국민건강보험공단 샘플코호트를 활용한 조현병 악화 예측모델 개발: OHDSI 환자 수준 예측(Patient-Level Prediction)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|
22 | 박남기 (아주대학교) |
머신러닝 기반 특징중요도를 활용한 약물 및 백신 이상반응 감시 방법 |
23 | 이성원 (아주대학교) |
Understanding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the telehealth after flattening the curve on CO |
24 | 홍경란 (서울대학교병원) |
임상용어의 SNOMED CT 매핑을 적용한 주 진단 선정 알림모델 개발 |
25 | 강민 (가천대학교) |
운동 활동 액티그래프 데이터를 사용한 우울증 판독 딥 러닝 모델 |
26 | 성수미 (서울대학교) |
건강보험 행위급여 검사코드의 SNOMED CT 매핑 |
27 | 오서현 (가천대학교) |
대장암 병기별 항암 화학요법 추천을 위한 생존기간 분석 |
28 | 강한나 (서울대학교) |
Structuring and Mapping Korean Medical Procedure code to SNOMED CT |
29 | 강한나 (서울대학교) |
Mapping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-7 code to SNOMED CT |
30 | 김도완 (숭실대학교) |
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해외유입 확진자 위험성 분석 |
31 | 김미희 (연세대학교) |
Perform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Disease Diagnosis and Prediction:A Review of Meta-analyses |
32 | 노미정 (가톨릭대학교) |
The Cancer Research Line (CAREL): Expanded Distributed Research Networks for Multicenter Cancer Rese |
33 | 김기훈 (가톨릭대학교) |
인체유래물 연계에 따른 임상역학정보 활용 확산을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|
34 | 유재용 (삼성융합의과학원) |
기계학습을 활용한 응급실에서 감별진단 예측 모델 개발 및 시각화 |
35 | 허그 스페이스 (삼성서울병원) |
Pediatric patient medical participatory design with communication technology in healthcare |
36 | 김민지 (전북대학교병원) |
감염병 임상시험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|
37 | 최지혜 (가톨릭대학교) |
뇌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과의존에 따른 청소년기 뇌발달의 이상성 탐색 |
38 | 홍문기 (차의과학대학교) |
기계학습을 활용한 신장이식환자의 신장기능 예후 예측 A predictive modelling of kidney function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|
39 | 박현주 (전북대학교병원) |
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심층신경망 기반 유방암 분류 |
40 | 김혜옥 (경희대학교) |
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Obesity in Koreans |
41 | 정승한 (전북대학교병원) |
OMOP-CDM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제2형 당뇨병 예측 |
42 | 박상현 (호서대학교) |
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월경 건강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선별 방법의 시스템 개발 |
43 | 신승훈 (호서대학교) |
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 based sex education on young adults |
44 | 전형하 (경북대학교) |
개인 SDoH(Social Determinants of Health)에 따른 의료 비용 예측 |